요즘 무엇이 성공으로 가는데 큰 역할을 하는가? 라는 생각을 좀 해보니
크게 3가지 부분으로 정리가 되더라구요.
첫째, 한다
둘째, 벤치 마킹(이미 잘하고 있는 분들의 내용 형식을 복사 붙여넣기) + 내 경험
셋째, 계속한다
실패 VS 성공 → 실패 + 성공
핵심 문장
실패 사전점검
점검 결과는 간단하다. 조직이 중요한 문제를 거의 다 결정했지만 아직 공식화하지 않았을 때, 그 결정을 잘 아는 사람들을 모아 짧게 회의를 한다. 회의는 다음과 같은 간단한 말로 시작한다. "1년 미래로 갔다고 상상합시다. 우리는 이 계획을 그대로 시행했어요. 결과는 참담했습니다. 5분에서 10분 정도 시간을 줄 테니, 그 참담함의 내용을 짧게 써보세요. (중략)
실패 사전점검의 큰 장점은 의심에 정당성을 부여한다는 것 이다. 나아가 결정에 의심을 품은 사람을 격려해, 앞서 생각하지 못한 위협 요소를 찾아보게 한다.
#
이 내용이 집단(직장 등)을 기준으로 봐서 그러한건데 개인으로 보자면 걱정되는 부분들을 미리 짐작해서 그 위협요소를 대비하면 대응할 수 있고, 만약 같은 일이 일어나지 않더라도 실패에 대한 많은 치트키를 가질 수 있다.
사람은 결코 완벽히 합리적이지도, 노골적으로 이기적이지도 않으며, 취향은 절대 고정불변이 아니라는 것 쯤은 심리학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
#
성공은 확정적이지 않고, 실패는 치명적이지 않다.
중요한 것은 계속하려는 용기이다.
윈스턴 처칠
인간이 맞딱뜨리는 많은 불행한 상황은 오른쪽 상단에서 일어난다. 아주 나쁜 옵션만 남았을 때 필사적으로 도박에 매달리면서, 큰 손실을 피할 수 있다는 작은 희망을 얻는 대가로 상황이 더 나빠질 높은 가능성을 떠 안는다.
#
이번에는 꼭 당첨되어야지 → 복권
이번에는 올라라 → 주식
이것만 먹고 하는거야 → 다이어트
그만두기보다 지속하고 싶은 일은 정신적, 물질적 쾌락을 포함해 여러가지다. 헬렌이 지속하고 싶어 하는 상황의 한 가지 예는 어떤 일에 깊이 몰두하는 것 이다. 미하이 칙센트 미하이가 "몰입"이라 부른 것으로, 예술가가 창조 활동을 하는 순간에 경험하는 상태, 그리고 많은 사람이 영화를 보거나 책을 읽거나 낱말 퍼즐을 풀면서 짜릿함을 느끼는 상태를 말한다. 방해받고 싶지 않은 상태다.(중략)
방해에 저항하는 행위는 장난감을 가지고 놀든 그네를 타든 재미있게 놀고 있다는 뜻이었다.
#
게임하는 데 자꾸 말 걸면 대꾸하고 싶지 않다 = 즐겁게 하고 있다
드라마 보는 데 자꾸 말 걸면 귀찮다 = 재미있게 보고 있다 (유튜브, SNS, 영화 등)
노력하는 자는 즐기는 자를 이길 수 없다. = 과정의 즐거움